IT 끄적이기

IT 인프라 아키텍처란 무엇인가?

미르아 2025. 1. 20. 11:04
728x90

IT 인프라 아키텍처는 서버, 네트워크, 소프트웨어 등 IT 운영에 필요한 모든 기반 구조를 의미합니다.

이 아키텍처는 구성 방식에 따라 집약형과 분할형(수직, 수평, 지리 분할)으로 나뉩니다.


1. 집약형 아키텍처

특징

  • 하나의 대형 컴퓨터로 모든 처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, "메인프레임"이라고도 불립니다.

장점

  • 구성 간단, 높은 안정성 및 성능 제공.

단점

  • 도입 비용과 유지 비용이 높고, 확장성이 제한적입니다.

2. 분할형 아키텍처

특징

  • 여러 대의 소형 컴퓨터를 조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며, "오픈 시스템" 또는 "분산 시스템"이라고도 불립니다.

장점

  • 낮은 비용, 높은 확장성.

단점

  • 관리 복잡성 증가, 장애 시 영향 범위 제한을 위한 구조 검토 필요.

3. 수직 분할형 아키텍처

3-1. 클라이언트-서버형 아키텍처 (C/S)

  •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해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구조.
    장점: 클라이언트 처리 능력 증가로 서버 부담 감소.
    단점: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필요, 서버 확장성 한계.

3-2. 계층형 아키텍처 (3-Tier)

  • 프레젠테이션, 애플리케이션, 데이터 계층으로 분리된 구조.
    장점: 클라이언트 업데이트 불필요, 서버 부하 분산.
    단점: 구조가 복잡함.

4. 수평 분할형 아키텍처

특징

  • 같은 용도의 서버를 여러 대로 나눠 확장성과 성능을 높이는 방식.

장점

  • 높은 확장성, 독립적 운영 가능.

단점

  • 데이터 일원화 어려움, 업데이트 작업 복잡.

5. 지리 분할형 아키텍처

5-1. 스탠바이형 아키텍처

  • 한 대의 서버가 장애 시 다른 서버로 자동 전환하는 고가용성(HA) 구성.
    장점: 안정성 제공.
    단점: 리소스 낭비 가능.

5-2. 재해 대책형 아키텍처 (DR 시스템)

  • 데이터 센터 장애 시, 다른 데이터 센터에서 업무를 재개하는 구조.
    장점: 업무 연속성 확보.
    단점: 데이터 동기화 및 애플리케이션 최신화 필요.

5-3. 클라우드형 아키텍처

  • 일부 또는 전체 시스템을 클라우드에서 운영하는 방식.
    서비스 모델:
  • SaaS: 애플리케이션 포함 업무 시스템 제공.
  • PaaS/IaaS/DBaaS: 클라우드 리소스를 활용해 서버와 서비스를 대체.

IT 인프라 아키텍처는 특정 요구에 맞는 구조를 선택하여 안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현대 IT 환경에서는 수직 및 수평 분할형 아키텍처와 클라우드 기반 아키텍처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