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쿠버네티스에서 YAML 코드 작성 및 실행은 간단한 단계로 이루어집니다.
아래는 Mac에서 Minikube를 사용해 테스트하는 과정입니다.
1. YAML 파일 작성
YAML 코드는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작성한 후,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적용합니다.
파일 작성 위치:
- Mac에서는 편한 디렉토리에 YAML 파일을 생성하면 됩니다. 예를 들어, Documents 폴더에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.
작성 방법:
- 터미널에서 작업 디렉토리로 이동:
- bash 코드 복사 cd ~/Documents
- YAML 파일 생성 및 작성:
- 아래 명령으로 파일을 생성한 뒤 편집기를 엽니다:
- bash 코드 복사 nano frontend-deployment.yaml
- 내용을 붙여넣고 저장합니다:
- yaml 코드 복사 apiVersion: apps/v1 kind: Deployment metadata: name: frontend spec: replicas: 1 selector: matchLabels: app: frontend template: metadata: labels: app: frontend spec: containers: - name: frontend image: curlimages/curl command: ["sleep", "3600"]
- 저장 후 종료(Ctrl + O → Enter → Ctrl + X).
2. YAML 파일 실행
작성한 YAML 파일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적용하여 리소스를 생성합니다.
Minikube 클러스터 확인
Minikube 클러스터가 실행 중인지 확인:
bash
코드 복사
minikube status
만약 실행 중이 아니라면 클러스터를 시작하세요:
bash
코드 복사
minikube start
kubectl 명령어로 적용
YAML 파일을 쿠버네티스에 적용합니다:
bash
코드 복사
kubectl apply -f frontend-deployment.yaml
실행 결과 확인
Deployment와 Pod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합니다:
bash
코드 복사
kubectl get deployments
kubectl get pods
3. 백엔드 서비스와 Deployment 추가
프론트엔드 포드와 통신할 백엔드 리소스도 같은 방식으로 생성합니다.
- 새로운 YAML 파일 생성:
- bash 코드 복사 nano backend-deployment.yaml
- 아래 내용을 추가:
- yaml 코드 복사 apiVersion: apps/v1 kind: Deployment metadata: name: backend spec: replicas: 1 selector: matchLabels: app: backend template: metadata: labels: app: backend spec: containers: - name: backend image: hashicorp/http-echo args: - "-text=Hello from backend"
- YAML 파일을 적용:
- bash 코드 복사 kubectl apply -f backend-deployment.yaml
- 서비스 생성:
- 백엔드 포드와 통신하기 위한 서비스 설정도 추가합니다:
yaml 코드 복사 apiVersion: v1 kind: Service metadata: name: backend-service spec: selector: app: backend ports: - protocol: TCP port: 80 targetPort: 5678
- bash 코드 복사 nano backend-service.yaml
- 적용 명령 실행:
- bash 코드 복사 kubectl apply -f backend-service.yaml
- 백엔드 포드와 통신하기 위한 서비스 설정도 추가합니다:
4. 포드 간 통신 테스트
프론트엔드 포드에서 백엔드 서비스로 요청을 보냅니다:
- 프론트엔드 Pod의 이름 확인:
- bash 코드 복사 kubectl get pods
- 프론트엔드 Pod에 접속:
- bash 코드 복사 kubectl exec -it <frontend-pod-name> -- sh
- 백엔드 서비스로 요청 보내기:
- bash 코드 복사 curl <http://backend-service>
- 결과 확인:
- 출력: Hello from backend
정리
- YAML 파일 작성 위치: Mac의 로컬 디렉토리(예: ~/Documents).
- 작성 도구: 텍스트 편집기(nano, vim, 또는 Visual Studio Code).
- 적용: kubectl apply -f <파일명> 명령어로 클러스터에 적용.
- 테스트: **kubectl exec**로 포드에 접속해 네트워크 통신 확인.
728x90
'IT 끄적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쿠버네티스(k8s) 학습하기 - Istio란? (0) | 2024.12.27 |
---|---|
쿠버네티스(k8s) 학습하기 - 클러스터란? (2) | 2024.12.27 |
쿠버네티스(k8s) 학습하기 - 포드간 통신 보기 (0) | 2024.12.27 |
쿠버네티스(k8s) 학습하기 - Minikube 실행 테스트 (0) | 2024.12.27 |
쿠버네티스(k8s) 학습하기 - 용어 설명 (2) | 2024.12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