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1. Network Engineer 및 Technical Architect 기술 및 경험
- Network Engineer: 네트워크 설계, 구축, 운영 및 문제 해결을 담당하는 직무로, 주로 물리적 네트워크 장비(Routers, Switches, Firewalls)와 네트워크 프로토콜(TCP/IP, OSPF, BGP 등)을 다룹니다.
- 주요 역할:
- 네트워크 인프라 설계 및 구현.
-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 및 최적화.
- 장애 대응 및 보안 강화.
- 필수 기술:
- 라우팅 및 스위칭(Routing & Switching) 기술.
- 네트워크 프로토콜(BGP, OSPF, MPLS 등) 이해.
- 주요 역할:
- Technical Architect: 조직의 기술 요구 사항에 따라 전체 네트워크 및 시스템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.
- 주요 역할:
- 네트워크와 IT 인프라의 장기적 로드맵 개발.
- 클라우드, SDN(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) 등을 포함한 최신 기술 통합.
- 팀 간 기술적 의사소통 및 협업 주도.
- 주요 역할:
2. Legacy 기술 (Routing & Switching 등)
- Legacy 기술: 오래된 네트워크 기술이지만 현재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정적이고 검증된 기술을 의미합니다.
- Routing (라우팅):
-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로 전달하는 방법.
- 주로 사용하는 프로토콜: OSPF, BGP, RIP, EIGRP.
- 라우터 장비: Cisco, Juniper, Huawei 등.
- Switching (스위칭):
- 네트워크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.
- 주로 사용하는 기술: VLAN, STP(Spanning Tree Protocol), MAC Address 테이블 관리.
- 스위치 장비: Cisco Catalyst, HPE Aruba 등.
- Routing (라우팅):
이러한 기술은 현재 네트워크의 기반이 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이며, 모든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숙지해야 하는 기본 기술입니다.
3. SDN 기술 (VXLAN/EVPN, ACI 등)
- SDN (Software-Defined Networking):
-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설계, 관리, 최적화하는 기술.
- 물리적 장비에 의존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, 네트워크를 프로그래밍으로 제어할 수 있음.
- 가상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오버레이 기술.
- 데이터센터 내에서 Layer 2 네트워크를 Layer 3 프로토콜 위에 생성하여 확장성을 제공.
- 주로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.
- VXLAN과 함께 사용되며, Layer 2와 Layer 3의 멀티테넌트 네트워크를 지원.
- 데이터센터 간 통신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제공.
- Cisco가 제공하는 SDN 솔루션.
- 애플리케이션 중심의 네트워크 설계 및 관리 도구.
- 네트워크의 구성 및 정책을 자동화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임.
4. 전송 기술 (인터넷, SD-WAN 등)
- 전송 기술:
- 데이터를 원격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과 프로토콜.
-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전달.
- ISP(Internet Service Provider)와 연결된 회선 관리.
- 관련 기술: MPLS, VPN.
- 기존 WAN과 달리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제어 및 관리.
- 여러 WAN 회선을 병합하여 대역폭을 최적화하고 비용 절감.
- 주요 기능:
- 지점 간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.
- 애플리케이션 성능 최적화.
- 중앙집중형 관리 및 가시성 제공.
정리
- Legacy 기술 (Routing & Switching):
- 전통적인 네트워크 인프라의 핵심 기술.
- 안정성과 호환성이 뛰어나며, 기본 네트워크 구조를 담당.
- SDN 기술 (VXLAN, EVPN, ACI):
-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환경에서 필수적인 최신 기술.
- 네트워크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강화.
- 전송 기술 (인터넷, SD-WAN):
- 데이터의 안정적 전송과 WAN 비용 절감을 위한 최신 기술.
요구 사항에 부합하기 위해 준비할 점
- 기초 다지기:
- 라우팅/스위칭 기술 (CCNA, CCNP 자격증 등).
-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대한 깊은 이해.
- 최신 기술 학습:
- SDN과 SD-WAN의 아키텍처와 구현 방식 학습.
- VXLAN/EVPN과 같은 클라우드 중심 기술 실습.
- 실무 경험 강화:
- 네트워크 설계 및 트러블슈팅 경험.
- 데이터센터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구축 실습.
728x90
'IT 끄적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LM과 RAG의 차이점 및 관계 (2) | 2025.02.18 |
---|---|
공부하기 위한 IT 용어 정리 (2) | 2025.02.13 |
Network (L2/L3) 기술보유자란? (1) | 2025.01.23 |
IT 인프라 아키텍처란 무엇인가? (0) | 2025.01.20 |
파이썬 디렉토리에 따른 실행 원리 (0) | 2025.01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