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IT 끄적이기

Network (L2/L3) 기술보유자란?

by 미르아 2025. 1. 23.
728x90

이제 학원을 수료하고 슬슬 취업을 준비해야 할 때라 공고를 보던 도중 궁금해서 정리했습니다.

사실상 OSI 7계층은 이론적으로만 그렇다라고 알고 있고 자세히는 몰라서 지피티에게 물어보고 정리했습니다.

 

 

Network (L2/L3) 기술보유자 또는 Network (L3 이상) 기술보유자라는 표현은 OSI 7계층(Open Systems Interconnection Model)에서 **L2(데이터 링크 계층)**와 L3(네트워크 계층) 수준에서 작동하는 네트워크 장비나 기술을 이해하고 다룰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합니다


1. OSI 7계층과 L2/L3의 역할

  1. L2 (데이터 링크 계층)
    • 장치 간의 데이터 프레임 전달을 책임짐.
    • MAC 주소를 기반으로 통신.
    • 주로 로컬 네트워크 환경(같은 스위치, 허브 등)에서 사용.
  2. L3 (네트워크 계층)
    • 장치 간의 데이터 패킷 전달을 책임짐.
    • IP 주소를 기반으로 통신.
    • 다른 네트워크 간의 경로를 결정(라우팅).

2. L2와 L3 장비

L2 장비

  • 허브 (Hub)
    • 가장 기본적인 네트워크 장비.
    • 모든 포트로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(모두에게 전송).
    • 데이터 충돌 가능성이 높고 비효율적.
  • 스위치 (Switch)
    •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달.
    • 브로드캐스트 대신 특정 포트로 데이터 전달(Unicast).
    • VLAN(가상 LAN) 구성 가능 (일부 고급 스위치에서 제공).

L3 장비

  • 라우터 (Router)
    • IP 주소를 기반으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패킷을 전달.
    • WAN과 LAN을 연결.
    •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 및 포트 포워딩 지원.
  • L3 스위치 (Layer 3 Switch)
    • 스위치의 기능 + 라우팅 기능을 포함한 장비.
    • LAN 환경에서 라우팅을 효율적으로 처리.
  • 방화벽 (Firewall)
    •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장비로, IP 주소와 포트 기반으로 트래픽을 제어.
    • L3 이상의 기능 포함.

3. L3 이상의 기술보유자

"L3 이상의 기술보유자"는 라우터, 방화벽, L3 스위치와 같은 고급 네트워크 장비를 다루거나, 이를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합니다. 또한 다음과 같은 기술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:

  • 라우팅 프로토콜: OSPF, BGP, RIP 등.
  • 서브넷팅: IP 주소를 나누고 구성.
  • NAT 및 포트포워딩: 외부와 내부 네트워크 간의 통신 설정.
  • VLAN 구성: 네트워크 세분화 및 트래픽 관리.
  • 방화벽 정책 설정: 네트워크 보안 규칙 설정.

4. 현재 수준에서의 발전 방향

당신이 이미 공유기, 스위치, 허브를 다룰 줄 알고 포트포워딩도 가능하다면, 다음 단계는 L3 장비를 다루는 기술을 배우는 것입니다.

추천 학습 방향:

  1. 라우터 설정:
    •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(OSPF, BGP) 학습.
    • 가정용 라우터뿐 아니라 Cisco, Juniper 같은 기업용 장비의 기본 명령어 학습.
  2. L3 스위치:
    • VLAN 및 Inter-VLAN 라우팅 구성 실습.
    • Cisco Catalyst 장비 학습(CLI 명령어).
  3. 방화벽 설정:
    • IP/포트 기반 정책 설정 실습(FortiGate, Palo Alto 등).
    • NAT와 DMZ 설정.
  4. 네트워크 기본 이론 학습:
    • 서브넷팅CIDR을 활용한 IP 주소 관리.
    •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(TCP/IP 구조).

추가 팁

  • 시뮬레이터 활용:
    • Cisco Packet Tracer, GNS3, EVE-NG 같은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로 실습 가능.
  • 자격증 취득:
    • CCNA(Cisco Certified Network Associate): L2/L3 장비와 네트워크 기본기 숙달.
    • CompTIA Network+: 네트워크 전반에 대한 기초 지식.
    • CCNP(Cisco Certified Network Professional): 고급 라우팅, L3 이상.
728x90